국민과 함께, 미디어와 함께
대한민국 광고산업의 미래를 열어갑니다
광고 패러다임의 변화와 미디어 환경의 변화에
발맞추어 나아가고 있습니다
스마트 광고 표준화 대상 영역은 광고제작, 광고거래, 효과측정 및 광고 기술이며, 이 사업을 통해 4개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데이터의 기준을 통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.
기존광고 | 신규광고 | |||
---|---|---|---|---|
지상파 (KOBACO) | 케이블TV/IPTV (한국광고협회) | 인터넷 (한국온라인광고협회) | 모바일 (한국온라인광고협회) | |
광고 제작 |
광고업종 분류, 광고물 표준코드, 프로그램 표준코드 업계에서 활용 중임 소재명 표준모델 프로그램 유형분류 표준코드, 메타데이터 표준화 제한적 활용함 |
양방향 광고상품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 용어 표준, 업종 분류, 윤리강령 및 자율심의 제한적으로 활용됨 | 광고유형, 용어 및 규격표준화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
광고 거래 | 광고단가 산정기준, 구매단위, 계약방식, 표준계약서가 존재함 | 광고상품 유형, 단가체계 업계, 광고거래 절차 및 표준약관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 광고상품 유형, 단가체계 업계, 광고거래 절차 및 표준약관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 광고상품 유형, 단가체계 업계, 광고거래 절차 및 표준약관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
효과 측정 | 시청률조사를 통해 측정함 | 양방향 광고 효과 측정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 광고효과 지표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 효과측정 지표 표준화 업계에서 활용되지 못함 |
광고 기술 | 온라인 거래 시스템 (KOBAnet), 온라인 전송시스템 (KODEX) 활용 중임 | 온라인 거래 시스템 (KOBAnet) 일부 사용 중임 | 개별 업체별로 특성화된 유통, 거래시스템이 구비됨(구글 애드센스 및 Admob, 애플의 Quattro 기반의 iAD) |